<meta> : 웹서버와 웹브라우저 사이에 주고받는 정보를 정의하는데 사용됨.
문서 자체의 특성을 나타냄
<title> : 상단 tab에 title 지정함
<title>이 부분이 tab에 나타남</title>
<link> : 필요한 스타일이나 아이콘 등 외부 문서를 html문서에 연결시킴
이 부분을 수정해야할 경우는 거의 없다.
<link href="style.css"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 />
<span> : 영역을 나누는데 쓰임
<span> div 태그와 달리 줄바꿈없이 영역만 나누는 span태그를 기억합시다 </span>
<div> : 영역을 나누는데 쓰임
<div> 안녕하세요 <strong> 로또 당첨</strong> 되게 해주세요 </div>
<p> : 문단을 나누는데 쓰임 (div태그와 차이점은 p 이 친구의 공간이 좀 더 많이 생김)
<p>문단1</p>
<i> : 글자를 기울여서 표시하는 태그로, italic의 약자
<i>기울여서 표시 할 내용</i>
<i class="fas fa-bars"></i>
예제처럼 외부에서 소스를 가져올 때 이 태그가 쓰임.
이 태그를 사용할 시 <head>태그안에 CDN (content delivery network )링크가 있어야한다.
외부에서 소스를 가져오는거니까!!!
<img> : 이미지 넣는데 쓰임. 단일 태그
<img src="https://flxt.tmsimg.com/assets/p16805962_b_v12_aa.jpg" width="200" height="250" />
작업 폴더에서 image폴더에 쓰고자 하는 이미지가 있다면 이렇게도 사용 가능!!
(alt는 이미지 표시가 안될 경우 대체 이미지로 설정)
<img src="../image/lion.png" alt="...">
<input> : 검색창처럼 데이터를 입력하는 상자가 생김. 단일태그
<input type="text" placeholder="연락처를 남겨주세요">
<button> : 뭘까? 진짜 쉽다. 말 그대로 버튼 만듦
<button>전송</button>
<audio> : 뭘까? 읽어보자. 오디오 만듦
<audio src="/assets/Hal.mp3" controls></audio>
<a> : 링크를 연결해서 여러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음
<a href="http://www.google.com"> 구글로 이동</a>
<table border = 'N'> <tr> <td> : 테이블 만듦
<table border='1'>
<thead>
<tr>
<td><strong> 질문 </strong></td>
<td><strong> 답변 </strong></td>
</tr>
</thead>
<tbody>
<tr>
<td> 1 + 1 = </td>
<td> 창문 </td>
</tr>
<tr>
<td>1 과 1 사이에 있는것은?</td>
<td> 과 </td>
</tr>
<tbody>
</table>
제목 행 <thead>
일반 행 <tbody>
부산 행 train to Busan
<table>은 기본적으로 표에 틈이 존재함. 없애려면 border-collapse : collapse
vertical-align : top / bottom / middle 셀 안의 요소 상하정렬
<tr>
<td colspan="5" style="text-align: right;">총 가격 : 250원 </td>
</tr>
위의 코드는 5개의 행을 '병합'하고 글자를 오른쪽으로 옮긴 것!!
<li> : list 만듦
<li>아름다운 이땅에</li>
<li>금수강산에</li>
<li>단군할아버지가</li>
<li>터잡으시고</li>
앞에 기호를 넣고 싶지 않다면 <li> <ol>태그 사용시 list-style : none 속성을 흔히 사용한다.
<ul> : 태그는 순서가 없는 HTML 리스트(list)를 정의할 때 사용함
<ul>
<li>아메리카노</li>
<li>카페라떼</li>
<li>핫초코</li>
<li>차
<ul>
<li>녹차</li>
<li>홍차</li>
<li>자스민차</li>
</ul>
</li>
</ul>
앞에 기호 부분이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ul 요소의 padding-left 속성의 값을 0으로 해줘야 여백이 사라짐.
아니면 기본으로 padding값이 들어가있다.
'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TML]부트스트랩+그리드 (4) | 2023.01.15 |
---|---|
[HTML]의미론적 태그 (0) | 2023.01.14 |
[HTML]실습하기 좋은 웹사이트 (0) | 2023.01.02 |
[HTML] 레이아웃 (2) | 2022.10.03 |
[HTML] HTML의 기초 (0) | 2022.09.30 |